안녕하세요 아이티젠 입니다.
이번엔 메인보드 구매후 설치 / 장착 하는 법 / 설치후 문제시 해결방법 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1. 구매후 설치 / 장착 하는법
2. 장착후 문제시 해결방법
3. 교환 / 반품 절차
순으로 설명 드리겠습니다.
#1. 구매후 설치 / 장착 하는법
메인보드를 교환 / 장착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메인보드를 교환 / 장착하기 전에 모든 전원을 차단하고, 아래의 단계를 따라 메인보드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1. 컴퓨터 케이스 확인 : 먼저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 케이스의 크기와 호환성을 확인합니다. 메인보드의 사이즈와 케이스의 사이즈가 일치하는지 확인합니다.
*모르시겠다면 종류/구분법 글을 보고 오세요.
메인보드(마더보드)의 종류와 구분법, 선택하는법
본 글은 메인보드에 대해 설명하는 첫번째 페이지로 그 시작은 메인보드의 종류와 구분법에 대한 글이며, 아래의 순서로 얘기해보겠습니다. 1.메인보드란 무엇인가? 2.메인보드의 종류는? 3.
itzen.tistory.com
2. 컴퓨터 케이스 열기 : 컴퓨터 케이스를 열기 위해 케이스의 나사를 풀거나 잠금 장치를 해제합니다. 일반적으로 케이스의 측면 패널에 있는 나사를 풀어서 열 수 있습니다.
3. 전원 및 데이터 케이블 연결 해제 : 메인보드에 연결되어 있는 24핀, 4핀(8핀) 전원 케이블과 데이터 케이블을 완전히 분리합니다. 주로 파워서플라이 에서 보드로, 저장 장치에서 보드로, 그래픽 카드 등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4. 기존 메인보드 제거 : 기존의 메인보드를 제거하기 위해 나사나 잠금 장치를 풀어주고, 메모리, 그래픽 카드, CPU 쿨러, CPU 등을 분리합니다. 메인보드를 부드럽게 꺼내고 전자 부품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보통 아래 빨간 동그라미 위치에 케이스와 메인보드를 고정해주는 나사가 잠겨있습니다.

5. 새로운 메인보드 설치 : 메인보드를 케이스에 장착후 CPU 램등을 설치하면 좁은 공간이라 설치가 어려울수 있습니다. 그래픽카드를 제외한 CPU, CPU쿨러와 메모리의 경우 메인보드를 케이스에 장착하기 전에 장착하시는것도 좋습니다. 평평한 곳에 메인보드를 놔두고 CPU, CPU쿨러와 메모리를 장착해줍니다.
다음으로, 새로운 메인보드를 컴퓨터 케이스에 부드럽게 넣어줍니다. 이때, 스탠드오프라고 불리는 육각형 모양의 나사가 새로 장착하는 메인보드의 나사홀과 같은 위치에 설치되있는지 확인하고 아니라면 위치를 맞게 바꿔주세요. 나사홀이 아닌위치에 육각나사가 남아있다면 메인보드에 쇼트 등을 발생시킬수 있습니다.
* 스탠드오프는 메인보드와 케이스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전기 접지를 제공합니다.
확인되었다면, 메인보드를 케이스에 고정시킵니다.
6. 하드웨어 연결: 메인보드에 필요한 하드웨어를 연결합니다. CPU,메모리를 장착하지 않고 메인보드를 먼저 고정했다면 CPU를 소켓에 부드럽게 삽입하고, 메모리 모듈을 정확한 슬롯에 삽입합니다. CPU 쿨러를 장착하고 CPU쿨러 케이블을 메인보드에 연결 합니다. 이때 선이 쿨러와 닿지 않게 위치를 잘 맞춰주세요.
그리고 그래픽 카드를 장착합니다. 그래픽카드에 6핀(8핀) 보조전원이 있다면 보조전원도 연결합니다.
저장 장치(하드디스크,SSD, ODD 등)의 SATA케이블을 메인보드에 연결하고 저장장치쪽에도 SATA케이블과 전원케이블이 잘 연결되었는지 확인합니다.
4핀(8핀) CPU 보조전원 케이블과 주전원 24핀 케이블을 연결 합니다.
전면 USB 데이터 케이블, 전면 사운드 케이블 등을 메인보드에 연결합니다.
마지막으로 전면패널 케이블을 연결해줍니다. FRONT PANEL CABLE 이라고 하는 이 부분은
전원버튼 / 리셋버튼 / 저장장치 LED / 파워 LED 등으로 케이스 전면부 기능을 사용할수 있게 해줍니다.
위 사진을보고 하나씩 장착하시기 바랍니다.
아래사진은 전면 단자에 대한 예시 사진이며, 이에 대한 부연 설명드리겠습니다.
전면에 연결하는 USB2.0단자는 주로 메인보드 제일 하단에 위치해있으며, 주변에 USB라고도 써있습니다.
모양에 맞춰 잘 연결해주시면 됩니다.

전면 오디오 단자 입니다. 보통 SOUND 혹은 AUDIO, HD AUDIO 라고 써있습니다.
USB등과 구분되기위해 핀의 빈칸 위치가 다른게 특징입니다. 모양에 맞춰서 잘 연결해주세요.

대부분 메인보드의 하단 / 하단 우측에 위치한 이부분은 FRONT PANEL 혹은 PANEL 이라고 써있으며
케이스 전면의 전원 버튼, 리셋 버튼, 저장장치 LED, 파워 LED로 구성되어있습니다.
핀이 1,2,3,4
5,6,7,8,9로 총 9개가 있으며
3,4번에 PWRBTN에는 PW SW 혹은 PWR BTN, 파워 스위치를 연결해주면, 컴퓨터 케이스의 파워버튼을 사용해 컴퓨터를 켜고 끌수 있게 됩니다.
7,8번에 RESET에는 RESET, RS SW, 리셋 스위치를 연결해주면, 컴퓨터 케이스의 리셋버튼을 사용해 컴퓨터를 리셋할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컴퓨터의 안정화가 많이 이뤄져 다운되는 등의 문제가 거의 없어, 리셋버튼이 없는 케이스도 종종 출시되고 있습니다.
없으면 연결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사용하고 싶지않을때도 연결하지 않으시면 됩니다.
1,2번에 PLED는 우리가 컴퓨터를 켜서 파워온 상태에서 케이스에 전원불빛이 들어올수 있께 해주는 단자 입니다.
이경우에는 방향이 존재합니다. 위의 파워,리셋은 어느방향이던 연결만 하면 상관이 없지만
LED단자의 경우 +가 존재하기 때문에 +라고 써진것을 잘보고 위치에 맞게 연결합니다. 여기서는 1번이 +네요
5,6번에 HDLED는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장치를 사용할때 데이터 이동을 LED로 케이스 전면에 표시해주는 건데요. 위와 같이 +에 주의하여 잘 연결해주시면 됩니다.

7. 부팅 및 BIOS 설정: 모든 연결이 완료되면 컴퓨터를 부팅하여 메인보드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필요한 경우 BIOS 설정을 조정하여 컴퓨터가 올바르게 동작하도록 설정합니다.
메인보드 장착은 조심스럽고 정확한 작업을 요구합니다. 메인보드와 관련된 설명서나 제조사의 가이드를 참고하여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정전기 방지 조치와 안전을 고려하여 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가정에서 정전기 방지를 위한 조치로는 전원케이블을 제거한 컴퓨터 케이스를 만져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2. 장착후 문제발생시 해결하는법
기본적인 방법순의 조치를 먼저 안내해 드리고, 반대로 증상별로 안내를 드리겠습니다.
특별한 증상이 있다면, 증상별 안내를 보시고 진행하셔도 되고, 없거나 잘모르시겠다면 기본적 조치방법을 순서대로 따라해 주세요.
#2-1. 기본적 조치 방법
1. 전원 및 케이블 연결 확인: 교체한 메인보드의 4핀 전원 케이블, 24핀 전원케이블, 그래픽카드 6핀 보조전원 케이블 및 데이터 케이블 연결이 올바른지 확인합니다. 제대로 연결되지 않은 케이블은 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위 설치법 #1 재확인
2. 메모리 재설치: 메모리가 올바르게 설치되었는지 확인합니다. 필요한 경우 메모리를 다시 제거하고 깨끗이 닦은 후 정확히 재설치합니다.
메모리 램 장착하는 법, 문제시 해결방법
드디어 메모리에 대한 마지막 글입니다. 여기서는 메모리 장착하는 법 부터, 주의 할점, 장착후 오작동/오류 시 해결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자, 먼저 메모리 장착하는 법 부터 살
itzen.tistory.com
3. CMOS 초기화 : 문제가 BIOS 설정과 관련된 경우, CMOS 초기화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꼭!!! 파워에 연결된 220V 전원선을 제거한후 메인보드에 있는 CMOS 클리어 점퍼를 클리어 위치로 이동시키고 CMOS 배터리를 제거한 후 약 1~2분후 CMOS 클리어 점퍼와 배터리를 원래 위치로 돌려놓습니다. 다시 220V전원선을 연결합니다.

*큰 빨간 원안의 부품이 배터리이며, 옆에 걸쇠를 살짝 옆으로 밀어주면 배터리를 뺄수 있습니다.
*작은 빨간 원안의 단자가 CMOS 클리어 점퍼라고 부르며 옆에 CLR_CMOS라고 약자가 써있는걸 볼수 있습니다.
사진처럼 별도의 점퍼가 없는경우, 십자/일자 드라이버로 해당 부분 핀2개를 잠시동안 쇼트시켜주시면 됩니다.
4. 드라이버 및 BIOS 업데이트 : 새로운 메인보드에는 최신 드라이버 및 BIOS 업데이트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메인보드 제조사의 웹사이트에서 해당 모델의 최신 드라이버 및
BIOS 업데이트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합니다.
5. 하드웨어 호환성 확인 : 교체한 메인보드와 다른 하드웨어들 간의 호환성을 확인합니다. 예를 들어, CPU와 메모리, 그래픽 카드가 메인보드와 호환되는지 확인합니다.
인텔 CPU 와 메인보드 칩셋별 호환표
이글은 소비자가 가지고 있거나 사용할 메인보드에 어떤 인텔 CPU를 사용할수 있는지에 대해 설명드리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기존의 CPU에서 업그레이드 하신다면, CPU종류와 구분법 글을 보
itzen.tistory.com
메모리 호환표
안녕하세요 아이티젠 입니다. 오늘은 메모리 호환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호환에 앞서 메모리(램)의 보는법,구분법이 필요하시면 아래 링크를 먼저 확인해주세요. https://itzen.tis
itzen.tistory.com
6. SATA 케이블 연결 재확인 / 재장착 : SATA 데이터 케이블의 경우 접점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사타케이블은 한쪽은 메인보드 반대쪽은 저장장치에 연결되어있으며, 양쪽다 2~3번 뺐다가 다시 꼽는것 만으로도 접점문제가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7. 전문가의 도움 요청 : 위의 방법으로도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경우, 메인보드 제조사의 고객지원팀에 문의하거나, 교환/반품 신청을 통해서 해결할수 있습니다. 본글에서 말씀드리는것 이상의 기술적인 지원은 전화상으로는 진행이 어려우며, 톡톡/카톡으로 문의 바랍니다.
메인보드 교체 후에 발생하는 문제는 다양한 요소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문제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능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의 원인을 추적하고, 제조사의 지원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2. 증상별 조치 방법
1. 전원이 안켜져요.
전원이 안켜지는건 연결에 문제가 있는경우가 가장 많으며, 그 다음으로 정전기발생으로 인한 CMOS초기화로 해결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우선 위의 설치가이드대로 다시한번 꼼꼼히 모든 케이블이 연결되었는지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다 연결 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전원이 안켜지신다면, #2-1의 3번 CMOS초기화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럼에도 역시 해결이 안되신다면, 아래의 교환/반품진행으로 이동해주세요.
2. 쿨러팬만 돌다 말다 돌다 말다하고 화면이 안나와요.
CPU,메모리의 접촉문제가 가장 많습니다. 소켓 청소 / CPU,메모리 지우개질 후 재장착 해주세요.
그럼에도 같은 문제가 반복되는 경우는 호환이 안되는 경우에도 발생할수 있는 증상입니다.
간혹 호환에는 문제가 없으나, 바이오스의 버전 문제로 발생하기도 하며, 이때는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해주어야 합니다.
그럼에도 역시 해결이 안되신다면, 아래의 교환/반품진행으로 이동해주세요.
3. 쿨러는 계속 도는데 화면이 안나와요.
이또한 CPU,메모리의 접촉문제인 경우에도 발생할수 있습니다. 위의 2번을 참고 바라며,
간혹 다른 이유로 해당증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픽카드/그래픽 출력과 관련된 문제인데요.
이때 내장그래픽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위에 CPU,메모리 접촉문제인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별도의 그래픽카드를 장착해서 사용하는 경우, 우선 그래픽카드를 빼고 내장그래픽에 연결을해서 화면이 나오는지 확인해봅니다. (CPU와 메인보드가 내장그래픽을 지원하는 경우만 가능)
내장그래픽으로 화면이 잘 나온다면, CPU+메모리+메인보드는 잘연결된것으로 보고, 별도의 그래픽카드 연결에 문제가 있는것으로 판정되며, 그래픽카드 재장착/연결부위 청소등을 진행한후, 아래의 절차를 따라봅니다.
첫째. 모니터 연결 케이블을 잘못된 위치에 장착한경우 = 실제 컴퓨터는 잘 작동되고 있으나 모니터케이블 연결에 문제가 있어서 화면이 안나온다고 하시는경우
(그래픽카드를 별도로 장착한 경우 모니터 케이블을 꼭 그래픽카드 출력 단자에 연결해주세요.
간혹, 그래픽카드를 장착하시고 메인보드의 모니터 출력라인에 모니터를 연결하시고 안되신다고 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그러면 당연히 화면이 안나옵니다...)
둘째. 그래픽카드의 6핀 보조전원케이블을 연결하지 않은경우, 6핀 보조전원이 있는 그래픽카드는 꼭 보조전원을 연결해줘야, 그래픽카드가 동작해서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셋째. 그래픽카드가 호환안되는 경우, 그래픽카드가 호환되지않는 모델인데 장착한 경우는 사용할수 없습니다.
보드에따라 일부 다를순 있지만, 보통 3세대 이하 메인보드에 GTX900번대 이상 그래픽카드를 장착한 경우
반대로 4,6세대 이상 메인보드에 700번대 이하 그래픽카드를 장착한 경우
위의 경우 UEFI 대응문제로 호환이 안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좀더 자세한 그래픽카드에 대한 호환글은 따로 링크를 드리겠습니다.(링크 준비중)
그럼에도 역시 해결이 안되신다면, 아래의 교환/반품진행으로 이동해주세요.
4. 램 슬롯 인식이 일부가 안되요.
인리컴에서는 발송전 모든 램 슬롯 작동을 재확인후 보내드립니다.
대부분 램 슬롯 일부가 인식이 안되는 경우, CPU접촉문제, 램접촉 문제에서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청소및 재장착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CPU장착방법, 불량 확인하는 방법, 교체후 문제시 대처법
자, 이번엔 CPU 장착방법, 불량/이상증상, 문제등이 있는경우 대처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올바른 CPU장착방법 교체 / 장착후 작동이 안될때 대처 방법 블루스크린 멈춤등의 불량시 확인/대
itzen.tistory.com
메모리 램 장착하는 법, 문제시 해결방법
드디어 메모리에 대한 마지막 글입니다. 여기서는 메모리 장착하는 법 부터, 주의 할점, 장착후 오작동/오류 시 해결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자, 먼저 메모리 장착하는 법 부터 살
itzen.tistory.com
약 2010년부터 현재까지 판매중인 대부분의 메인보드는 CPU에 메모리 컨트롤러가 들어가있기때문에, CPU의 접촉불량이 발생해도, 메모리가 동작하지 않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역시 해결이 안되신다면, 아래의 교환/반품진행으로 이동해주세요.
5. 인터넷이 안되요.
인터넷의 경우, 역시 테스트 후 발송해드리기때문에 불량 확률이 매우 적습니다.
인터넷선을 뺏다가 다시 장착해보신후, 윈도우내에서 드라이버가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해주세요.
또한, 드라이버에 문제가 없어 보인다면 다른 버전의 드라이버로 설치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간혹, 윈도우의 문제로 윈도우 재설치후 해결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외부의 문제로 컴퓨터,공유기,모뎀등의 전원을 전부 OFF 후에 약 1~2분후 다시 모뎀/공유기/컴퓨터 순으로 다시 전원을 켜서 해결되시는 경우도 있습니다.
2~3세대 이하 구형 메인보드의 경우 윈도우 7에서는 잘 작동하나, 윈도우10에서 인터넷이 안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소프트웨어 호환의 문제이며, 제품의 문제가 아닙니다.
이때는, 바이오스 업데이트로 해결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역시 해결이 안되신다면, 아래의 교환/반품진행으로 이동해주세요.
6. 사운드가 안되요.
사운드가 안될때는 먼저 드라이버가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후, 드라이버를 다른버전으로 업데이트 해볼수 있으며,
후면 사운드 (녹색단자)에 연결이 잘되었는지 확인해본후 잘 연결 되었으나 안된다면, 전면 단자에 꽂아서 확인해볼수 있습니다.
전면에 꽂으면 소리가 잘 나오는데, 후면에 꽂으면 안나오는 경우는, 후면단자 접촉불량(뺏다 다시 꽂아보세요)이거나, 사운드 드라이버내에서 설정의 문제 입니다. 아래 링크를 참조 바라며
전면/후면 둘다 안나오는 경우, 드라이버의 문제 혹은 윈도우 자체의 문제로 드라이버 재설치 / 윈도우 재설치가 필요할수 있습니다.
후면 포트만 작동하는 경우는 전면사운드 케이블의 메인보드 장착이 잘못되었거나, 전면 사운드 포트의 문제가 있을 확률이 큽니다.
그럼에도 역시 해결이 안되신다면, 아래의 교환/반품진행으로 이동해주세요.
7. 너무 느려요.
원래 제품이 느린게 아니라면, 대부분 접촉의 문제 / 온도의 문제입니다.
접촉은 전체 과정중 CPU, 램의 재장착을 권장하며 저장장치(하드, SSD)의 SATA케이블의 접촉불량으로도 느린 증상이 자주 발생합니다.
이때 전원OFF후 꼭 SATA케이블 양쪽 연결부위를 2~3회 재장착 해서 접점을 개선해주고 다시 확인해봅니다.
온도의 문제인경우 아래링크대로 확인후, 역시 CPU,램 재장착/ 써멀 재도포를 권장합니다.
CPU, 그래픽카드, SSD등 내 부품 온도 확인하는법
원래 CPU 관련 설명 작성중 해당글에 넣으려고 했는데, 다른 부품들의 온도도 확인이 필요한 경우가 있어, 따로 빼는게 좋겠다 싶어서 이렇게 글을 올리네요. 이글에서는 내 컴퓨터의 모든 하
itzen.tistory.com
그럼에도 역시 해결이 안되신다면, 아래의 교환/반품진행으로 이동해주세요.
8. USB 전원 간헐적 끊김, USB 연결 안됨
후면 USB가 전혀 작동을 안한다면, CMOS 초기화 및 윈도우 재설치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전면 USB가 전혀 작동을 안한다면, 전면USB 케이블이 메인보드에 잘 연결되었는지 재확인바라며, 연결이 잘 되어있다면, 드라이버 / 윈도우 재설치를 해보시기 바라며, 파워부족으로 인해 그럴수도 있으며,
전면 USB 포트 PCB 쪽에 문제가 있어서 작동 안할수도 있습니다.
윈도우10 USB 포트 인식 불량 해결방법
HowTo - Windows 10 USB 포트 불량 간단 해결법 윈도우 7, 8 버전에서 윈도우 10으로 업그레이드해서 사용하는 PC에 주로 나타나는 증상으로, USB 포트가 정상적으로 인식되지 않아 관련 기기들을 사용할
forbes.tistory.com
USB가 잘 작동하다가 간헐적으로 끊기는 증상이라면 과도한 USB연결로 파워 서플라이의 전력공급문제로도 발생할수 있으며, 전력소모가 심한 일부 USB를 제거해서 해결할수도 있습니다.
이외의 방법으로는 아래의 링크를 참고바랍니다.
[Windows10] USB3.0 간혈적 끊김 현상/전원 부족 해결법
1. 증상 대용량 파일 이동시 중간에 오류로 끊김 (┬┬﹏┬┬) 2. 해결법 2.1 소프트웨어적 접근 ① USB 3.0 포트 설정 내컴퓨터 - 우클릭 - 속성 장치관리자 클릭 (컴퓨터마다 다름) USB 3.0을 찾아야함
treasurer.tistory.com
그럼에도 역시 해결이 안되신다면, 아래의 교환/반품진행으로 이동해주세요.
9. 에러가 나요. 블루스크린이 발생합니다. 윈도우로고만뜨고 무한 재부팅 됩니다.
이경우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수 있는데요.
첫째. 접촉불량, CPU 메모리의 재장착/청소를 권장드립니다.
둘째. 온도 문제 // 쿨러 장착이 잘못되서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온도 체크해보신후, 온도가 높다면 써멀구리스가 적정량이 도포되었는지 확인후, 쿨러를 재장착해주세요.
셋째. 드라이버, 윈도우등 프로그램 문제. 드라이버등을 다른버젼으로 재설치 했으나, 똑같이 발생한다면
윈도우를 재설치해야 합니다. 소프트웨어 충돌로 발생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역시 해결이 안되신다면, 아래의 교환/반품진행으로 이동해주세요.
10. 윈도우 시스템 종료를 했는데 전원이 안꺼져요. 팬이 계속 돌고 있어요.
이경우도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수 있는데요.
첫째. 기본적 조치 방법의 CMOS초기화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둘째. 윈도우 재설치 혹은 메인보드 드라이버 재설치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셋째. 윈도우 시작/검색 창에서 "절전"이라고 검색하시면 "전원 및 절전 설정"이 나오고, 클릭합니다.
전원 및 절전설정 창에서, 우측에 추가 전원 설정을 클릭, 전원 옵션창이 나오면
왼쪽에 전원 단추 작동 설정을 클릭합니다.
전원 단추를 누를때 설정이 시스템 종료로 되어있는지 확인, 아니라면 변경.
혹은 종료 설정에 빠른시작켜기 해제!
넷째. 보드 마다 다르지만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통해서 해결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혹은 바이오스 설정에 따라 영향을 받을수도 있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이경우는 보드의 종류가 너무 많고 그 경우가 다양해 설명/해결이 어렵습니다. 위의 경우를 다 하셨지만 안되는 경우는, 호환의 문제로 추가 해결/지원이 어렵습니다.
아래의 교환/반품진행으로 이동해주세요.
11. 작동하다가 꺼져요. 몇초~몇분정도.
이경우 대부분 갑자기 전원이 꺼진다면 온도의 문제로, CPU쿨러의 장착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제일 많습니다.
해당 링크를 참고해서 CPU쿨러를 올바르게 장착해주세요. 온도확인도 해보시구요.
12. A disk read error occurred
A disk read error occurred
Press Ctrl+Alt+Del to restart
컴퓨터를 켠후, 윈도우는 안들어가지고, 이런 문구가 뜨는 경우 해결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대부분, 저장장치 관련 접촉불량이 많으며, 초기에 발생하는 경우 기존에 설치된 윈도우와 메인보드의 설정값에 대한 차이로 발행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 메인보드 교체 후 발생한 경우
- 메인보드의 bios 셋팅값이 달라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메인보드 bios 에 들어가신후 초기화 작업을 해주시거나, 기존 메인보드의 셋팅값과 똑같이 맞춰야 합니다. legacy(CSM)모드-> uefi 모드로 변경하거나, 반대로 변경하셔야 합니다. 불가능할 경우 bios값 변경없이 현 상태로 윈도우를 재설치후 문제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 사용중 발생하는 경우
- 저장장치(HDD, SSD 등)에 연결하는 데이터 케이블 접촉불량일때 많이 나타나기도 하는 증상입니다.
- 사타 케이블이 연결된 저장장치쪽, 메인보드쪽의 연결을 뺏다가 다시 꼽는 작업을 3~4차례 반복해서 접점이 좋아지게 할수 있습니다. 혹은 포트를 다른 포트로 변경하는것도 좋습니다.
- 이후 다시 전원을 켜서 작동하는지 확인 합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같은 메세지가 나온다면, 윈도우 재설치를 권장드립니다.
#3. 교환/반품 절차
위의 절차를 모두 따라 해보셨는데도 불구하고 작동에 문제가 있는경우, 전화등으로 해결되기 매우 어렵습니다.
저희쪽에서 제품을 구매하셨다면 해당 내용기재후 교환/반품을 진행해주면 됩니다.
구매하신 사이트에서 반품/교환 신청을 해주시면 자동 회수처리가 진행되며,
2~3일이 지났는데도 회수가 안되시면 고객센터로 연락주시면 택배사에 회수 재요청 해드립니다.
택배기사님이 수거해 가신뒤 2~3일후,
저희쪽(아이티젠)으로 회수한 제품 입고 후, 개봉부터 테스트 과정까지 전부 녹화해서 확인합니다.
이때, 정상작동 하게 되면, 제품에 문제가 없는걸로 판단하여 고객님께서 왕복배송비를 지불하셔야 합니다.
* 녹화된 파일은 필요시 고객센터로 요청해주시면 문자나 카톡으로 보내드립니다.
반대로 불량이 확인되면, 아이티젠에서 왕복택배비를 전액 부담하며, 교환/반품(환불) 원하시는 방향으로 처리해드립니다.
* 메인보드의 경우 불량률이 평균적으로 약 100개중 2~3개이내이며, 꼭 위의 해결방법대로 진행해 보신후 교환/반품진행하시길 권장드립니다.
그외 문제가 있는데 해결안되시는 경우, 고객센터로 문의 바랍니다.
카카오톡 검색에서 " 아이티젠 " 을 검색후 카카오채널에 아이티젠을 클릭해주세요, 채팅 문의 주세요.

어려우시면, 핸드폰으로 아래 QR코드를 촬영하시면 카톡채널로 연결됩니다.
'메인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인보드(마더보드)의 종류와 구분법, 선택하는법 (2) | 2024.01.03 |
---|---|
메인보드 바이오스 업데이트 하는 방법 (2) | 2024.01.03 |